국내에 도입된 지 23년 만에 메이저사이트(부동산투자회사) 자산 규모가 100조원을 넘어섰다. 일본, 싱가포르 등과 비교하면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지만 각종 규제 완화로 메이저사이트의 활용도가 늘어나고 있어 성장 속도가 한층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메이저사이트, 23년 만에 100조…규제 완화로 성장 기대
9일 메이저사이트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메이저사이트 자산총계는 100조72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0월 99조4500억원에서 1조2700억원 증가해 100조원 고지를 밟았다. 메이저사이트는 여러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자산의 70% 이상을 부동산에 투자한 뒤 이익의 90% 이상을 배당하는 회사다.

메이저사이트는 1960년 미국에서 최초로 도입됐고, 국내에선 2001년 첫선을 보였다. 10조원 돌파(2013년)까지 12년 걸렸고, 이후 11년 만에 100조원으로 성장했다. 2001년 단 4개에 불과하던 운용 메이저사이트는 지난달 395개까지 늘어났다. 2019년만 해도 60%를 웃돌던 주택 관련 메이저사이트 편중 현상도 완화하고 있다. 지난달 기준 부동산 유형별 메이저사이트 자산 비중은 주택(47.3%), 오피스(29.1%), 물류(7.6%), 리테일(7.5%) 순서였다.

해외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메이저사이트 시장 규모는 여전히 작다. 국내 상장메이저사이트 시가총액(지난 3월 기준)은 7조9000억원으로, 일본(136조원)과 싱가포르(91조원)에 크게 뒤처져 있다. 세 국가 모두 메이저사이트 도입 시기가 2000년대 초반으로 비슷하다. 미국(1850조원)과는 비교가 안 되는 수준이다.

정부가 규제 중심으로 메이저사이트 제도를 운영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최근 잇달아 ‘메이저사이트 활성화’ 방안을 내놓으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헬스케어 메이저사이트, 기업구조조정(CR) 메이저사이트 등을 선보인 데 이어 올해 메이저사이트가 데이터센터나 태양광발전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규제 개선안도 발표했다.

지난달엔 미국 메이저사이트 폭발적 성장의 기폭제가 된 ‘업(UP)메이저사이트’(현물출자 때 과세이연) 도입 구상도 밝혔다. 토지주가 땅과 건물을 메이저사이트에 현물 출자할 경우 양도차익 과세 시점을 준공 이후로 늦추는 제도로, 메이저사이트업계의 숙원사항이었다. 향후 금리가 더 떨어지면 메이저사이트의 투자 매력도도 더 커져 내년 국내 메이저사이트 자산이 150조원까지 불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