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현지시간) 멕시코 페리반의 포장 창고에서 노동자들이 갓 수확한 미국 수출용 아보카도를 선별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지난달 17일(현지시간) 멕시코 페리반의 포장 창고에서 노동자들이 갓 수확한 미국 수출용 아보카도를 선별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대상으로 한 관세 부과를 1일(현지시간) 못박으면서 미국 가계의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정치매체 악시오스는 전날 싱크탱크 택스파운데이션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 가구당 연평균 830달러(약 120만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향후 10년간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0.4% 감소하고, 세금 부담이 1조2000억달러(약 150조원) 증가할 것이란 추정도 제시했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도 관세 부과로 미국 가구당 구매력이 연평균 1245달러(약 180만원) 감소하고, 중장기적으로 GDP가 0.2% 줄어들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같은 날 발표했다.

관세 조치의 직격탄을 맞게 된 미국 내 철강·석유 산업 등 슬롯 머신 규칙에서는 정책 재고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85만 노동자를 대변하는 미국 철강노조(USW)는 성명을 통해 “매년 약 1조3000억달러(약 1895조원) 상당의 제품이 캐나다와 미국 국경을 오감으로써 미국 일자리 140만 개와 캐나다 일자리 230만 개가 유지되고 있다”며 “관세는 캐나다뿐만 아니라 양국 산업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조치”고 지적했다.

미국 석유화학슬롯 머신 규칙 단체(AFPM)도 성명을 내고 “원유 및 석유화학 제품이 관세 부과 목록에서 제외되지 않을 경우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임다연 기자 all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