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1조4000억 자금 조달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외 자회사 지분 매각 추진
차입금 상환해 재무건전성↑
기초석유화학 비중도 줄이기로
차입금 상환해 재무건전성↑
기초석유화학 비중도 줄이기로

롯데케미칼은 미국 법인인 롯데케미칼루이지애나(LCLA)의 유상증자 후 지분 매각을 통해 6600억원을 연내 조달할 계획이다. 유증 후 지분 매각이 끝나면 롯데케미칼USA의 LCLA 지분율은 100%에서 60%로 낮아진다. LCLA는 미국에서 에틸렌글리콜(EG)을 생산하고 있다. 약 3조4000억원을 투자해 2019년부터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
또 롯데케미칼은 인도네시아 법인인 롯데케미칼인도네시아(LCI)의 지분을 활용해 내년에 7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LCI는 연산 100만t 규모 에틸렌 공장을 내년부터 가동할 예정이다. 이 밖에 프로필렌(PL), 폴리프로필렌(PP), 부타디엔(BD) 등 다양한 기초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한다. 롯데케미칼은 향후 추가로 지분을 매각해 총 2조원까지 자금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롯데케미칼의 연결 기준 부채 비율은 상반기 기준 75.3%다. 석유화학 업황 부진이 장기화할 것이란 판단에 따라 자산을 선제적으로 유동화해 자금을 확보하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케미칼은 이를 통해 기초 석유화학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현재 60%에서 2030년 30% 이하로 낮출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기초 석유화학 부문의 자산을 효율화해 ‘캐시카우’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2022년에 이어 올해까지 3년 연속 적자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 슬롯사이트 볼트카지노메이저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