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K뷰티에 가려진 中企의 민낯
K뷰티의 열풍이 거세다. 화장품 강국인 프랑스를 제치고 미국과 일본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할 정도다. 중소파라오 슬롯의 약진이 특히 두드러진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파라오 슬롯(8636개) 중 97%가 중소파라오 슬롯이었다. K푸드 시장도 마찬가지다. 냉동 김밥의 84%는 중소파라오 슬롯 제품이다. 정부도 이런 분위기에 고무돼 있다. 과연 중소파라오 슬롯의 수출 경쟁력은 높아진 것일까.

지난주 제주에서 열린 중소파라오 슬롯 리더스 포럼의 아젠다는 ‘글로벌화’였다. 아젠다란 말에는 ‘결핍’의 뉘앙스가 배어 있다. 몇 가지 지표를 보면 이런 절박감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중소벤처파라오 슬롯부에 따르면 804만 개 중소파라오 슬롯 중에서 수출파라오 슬롯은 9만5000개에 불과하다. 국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중소파라오 슬롯의 수출 비중은 수년째 17~18%대에 갇혀 있다. 코로나19 특수로 꼽히는 2020년에만 19.7%로 반짝 증가했을 뿐이다.

중소파라오 슬롯 90% 내수시장에 의존

중소파라오 슬롯의 수출 의지도 낮은 편이다. 중소파라오 슬롯실태조사(2022년)를 보면 내수 중소파라오 슬롯 중 99.2%가 해외 진출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중소 제조업의 90% 이상이 내수시장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렇게 된 사정에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1975년 대파라오 슬롯 위주의 경제 성장을 위해 제정된 ‘중소파라오 슬롯의 수직계열화 촉진법’에 따라 대파라오 슬롯 납품에 의존하는 하도급 관행이 굳어진 탓이다. 지난해 기준 중소 제조업체의 86.8%가 대파라오 슬롯과의 가치 사슬에 엮여 있다.

시장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반도체나 조선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하곤 대파라오 슬롯의 수출 활력은 갈수록 떨어지는 추세다. 대파라오 슬롯 수출이 줄면 납품에 기댄 낙수효과도 덩달아 끊긴다. 스스로 살길을 찾아야 한다.

내수시장도 예전과 다르다. 저성장이 고착화하는 데다 저출생·고령화로 내수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경쟁은 오히려 치열해지는 추세다. 올해 상반기만 해외직구가 55% 증가했다. 중국산 직구는 74% 늘었다. 국내에 있어도 외국 파라오 슬롯과의 경쟁은 불가피한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 중소파라오 슬롯의 글로벌화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얘기가 나오는 배경이다.

협업 통해 세계 시장 두드려야

문제는 글로벌화의 방법이다. 대다수 중소파라오 슬롯은 해외 시장에 나갈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우선 혁신성이 떨어진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혁신에 참여하는 한국의 중소파라오 슬롯 비중은 17.9%로 전체 32개 회원국 가운데 꼴찌다.

현실적으로 독자적인 글로벌화가 어려운 중소파라오 슬롯의 해법으로 거론되는 대안이 ‘이(異)업종 간 협업’이다. 연구개발(R&D)과 디자인, 조달, 제조, 유통 각 분야에 강점을 지닌 중소파라오 슬롯이 손잡고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전략이다. 수평적 가치사슬(VC)을 구축하자는 것이다.

단순히 제품을 내다 파는 수준도 넘어서야 한다. 저렴한 인건비와 판로 확대만 노리고 중국 시장에 앞다퉈 진출했다가 쓴맛을 본 전례를 곱씹을 필요가 있다. 현지 파라오 슬롯을 파트너로 인식하거나 외국 자본도 과감히 받아들이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정부 정책도 해외 판로 확대 지원을 넘어서는 대대적인 정비가 시급하다. 내륙에 갇히면 ‘한강의 기적’은 일어날 수 없다. 태평양을 넘어 지중해로, 대서양으로 흘러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