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가치와 1 대 1로 연동하는 스테이블 슬롯 꽁 머니의 국내 거래량이 올해 들어 320억달러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이블 슬롯 꽁 머니은 달러처럼 쓰이는 암호화폐지만, 정부 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어 보이지 않는 외환관리 리스크로 떠올랐다는 지적이 많다. 스테이블 슬롯 꽁 머니을 기반으로 한 무역 거래가 늘면서 국제수지, 외환보유액 등 거시경제 지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7일 한국경제신문이 국내 암호화폐거래소에 상장한 테더, 유에스디슬롯 꽁 머니, 다이 등 달러 연동 스테이블 슬롯 꽁 머니 거래량(1~9월)을 집계한 결과, 총 43조3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달러로 환산하면 320억달러에 달하는 규모다. 하루 평균 거래량만 1580억원(약 1억2000만달러)어치에 달했다.

달러 연동 스테이블 슬롯 꽁 머니 거래가 급증해 정부의 잠재적인 외환관리 리스크 요인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예컨대 추석 연휴(9월 14~18일) 직전 원·달러 환율은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당 1329원60전에 마감했다. 테더 가격은 연휴 기간인 지난달 16일에도 국내 암호화폐거래소에서 1351원까지 올랐다. 서울외환시장이 문을 닫는 동안 원화 가치가 1.6% 떨어졌다는 얘기다.

정부 일각에서는 한국 무역 거래의 10%가 스테이블 슬롯 꽁 머니으로 이뤄진다는 추정도 나온다.

황석진 동국대 국제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스테이블 슬롯 꽁 머니은 무역 통계에 잡히지 않아 국가 정책을 운용하는 데 구멍이 생길 수 있다”며 “범정부 차원에서 대응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미현/서형교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