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도 5000원' 다이소 없어서 못사…1020女 푹 빠진 온라인 슬롯 [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초미니 온라인 슬롯'에 끌리는 1020 세대
소온라인 슬롯 크림부터 미니 쿠션까지 인기
"같은 돈으로 다양한 온라인 슬롯 구매 선호한다"
소온라인 슬롯 크림부터 미니 쿠션까지 인기
"같은 돈으로 다양한 온라인 슬롯 구매 선호한다"

20대 직장인인 고모 씨는 최근 '소용량 화장품' 구매를 선호하게 됐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가 예시로 보여준 온라인 슬롯은 5g짜리 쿠션형 파운데이션. 온라인에서 9600원(1g당 1920원)의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본품은 12g에 리필까지 총 24g이 담겨 있고 3만600원(1g당 1275원)이다. 단위 당 가격으로 따지면 소용량 온라인 슬롯이 50%가량 더 비싼 셈이다.
그래도 고 씨는 "써보고 맘에 들면 본품을 사면 된다"며 "요즘 온라인 슬롯나 편의점에서 저렴한 소용량 화장품들이 많이 출시돼 좋다"고 말했다.

소용량 화장품이란 소비자 가격을 낮추고 용량을 줄여 출시하는 온라인 슬롯을 이른다. 비닐 포장으로 소분돼있는 크림이나 에센스, 로션, 클렌징폼 등이 대표적이다.
과거 소비자들은 이러한 소용량 화장품을 '여행용'으로만 인식했다면, 최근에는 '다양한 화장품을 사용해보기 위해', '해당 온라인 슬롯이 예민한 피부에 잘 맞을지 확인해보기 위해' 평상시에도 소용량 화장품을 구매한다는 진단이 나온다.
올해 초 다이소가 '가성비 화장품' 전략을 내세워 화장품 라인업을 다각화한 것도 이러한 현상을 부추겼다. 특히 마트나 백화점 등에서는 '증정용 샘플'로만 받을 수 있었던 소용량 온라인 슬롯을 개발해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한 점이 주효했다.
소비자 가격이 1000~5000원선이니 소비자들이 굳이 단위 당 가격까지 따지지 않고 '한 번 써본다'는 심리로 소용량 화장품을 구매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더해 다이소의 경우 단위 당 가격을 고려해도 소용량 온라인 슬롯이 더 저렴한 '리들샷', '물광팩' 등의 온라인 슬롯들도 다양해 품절 대란을 일으키는 등 온라인에서 큰 관심을 끌기도 했다.

소용량 온라인 슬롯의 인기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니다. 지난 8월 유명 뷰티 유튜버 '회사원A'는 영상을 통해 태국에서 편의점 온라인 슬롯이 발달한 모습을 조명하기도 했다. 그가 영상을 통해 보여준 태국 편의점 내부는 마치 한국의 올리브영을 방불케 하듯 다양한 온라인 슬롯으로 가득했다.
이에 회사원A는 "국내에도 소용량 화장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태국에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극소용량 색조 화장품도 3000원대 가격으로 다양하게 팔리고 있다"면서 "여러 온라인 슬롯을 시도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좋다"고 평가했다.

이어 "최근 불경기로 인한 가성비 온라인 슬롯의 인기로 소용량 화장품 시장이 급격히 커졌다"면서 "현재까지도 국내에서는 샘플 화장품 거래가 불법으로, 증정만 가능하다. 이 점도 국내 소용량 화장품 시장의 외연 확장을 막은 이유 중 하나일 것으로 짐작한다"고 내다봤다.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소용량 화장품의 주 소비층이 1020"이라면서 "이들은 가격 접근성이 중요한 소비층이라 절대적인 가격대가 낮은 온라인 슬롯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경험 소비를 중시하는 세대라, 돈을 더 주고 대용량 온라인 슬롯을 구매할 바에 다른 화장품을 사보고 싶어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