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의 추억] 바카라 꽁 머니로 가득 찬 학교운동장…가난했지만 희망 넘쳤던 시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머니들의 이런 희생 위에, 1950년대 중반~1960년대 태어난 한국인들의 상당수는 고등교육을 받았습니다. 그들은 열심히 취업 공부하면, 노력한 만큼 좋은 직장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고도성장기에 빠르게 커나가고 있던 기업에 들어간 그들은 주 6일 근무에 야근을 마다하지 않고 한국의 산업화를 일궜습니다. 또한 그들은 월급을 모아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게 집 한채를 살 수 있었습니다. 조금만 재테크에 신경을 쓴 사람은 전세 끼고 아파트를 사서 프리미엄을 붙여 팔아, 상당한 자산을 쌓을 수도 있었습니다.
죽자사자 노력하면 사회적 성공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한 1950년대~1960년대 생들은 자신의 자녀들을 초등학교 때부터 학원에 보냈습니다. 자식들이 경쟁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였죠. 고 박정희 대통령 집권 시절 청소년기를 보낸 그들은 '하면 된다'라는 박 대통령의 철학을 듣고 자랐습니다. 거리에도 교실에도 '하면 된다'라는 네 글자가 늘 펄럭였습니다. 알게 모르게 그 세대는 그런 생각에 젖어 들었습니다. 그래서 자녀들을 더 가르치면 더 큰 것을 이루게 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20세기 후반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됐습니다. 지방에서 학교를 나온 사람들도 수도권에서 직장생활을 하거나 사업을 벌였습니다. 수도권은 더 과밀해졌고, 주택값은 올랐고 나은 삶을 향한 경쟁은 점점 뜨거워졌습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은 그들의 부모 세대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치열한 경쟁 체제에 갇히게 됐습니다. 그런데 사실 1950년대~1960년대 생들이 초등학교 다닐 때 학원에 거의 가지 않았습니다. 기껏해야 주산학원 정도였습니다. 중학교 때도 소수의 바카라 꽁 머니만 사교육을 받았습니다. 대입 과외를 받는 학생들이 있었지만, 지금처럼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게다가 1960년대 생들은 고교시절 전두환 정부의 과외금지 조치로 학교 수업만 들었습니다.
그런 그들이 지금의 '초경쟁사회'를 구축한 것은 바카라 꽁 머니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전국의 모든 대학과 직장과 직업을 일렬로 세워 등수를 매기고, 여러 그룹으로 나누는 희한한 정서는 과열경쟁 사회가 빚은 기이한 현상입니다. 지독한 경쟁의 과정을 겪은 요즘 세대는 그래서 단 1점만 높아도 그에 걸맞는 대접을 받아야 겠다는 욕망을 갖게됐습니다. 사교육업계는 그런 현상을 부추겨 큰 돈을 벌었습니다. 결국 이런 순위매기기 경쟁체제에선 1등부터 100등까지 모두가 불행하게 됩니다. 1등은 1등의 결과물이 행복을 보장하지 않아서 불행하고, 2등은 1등 못한 것 때문에 불행하고, 50등은 더 상위권으로 올라가지 못해서 불행하다 느낍니다.
출산율 0.65. 신입생 없는 초등학교 157개. 우리는 국가 소멸을 걱정하게 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수많은 아이디어와 대책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가장 앞에 둬야 할 것은 ‘행복’이란 단어가 아닐까요. 청년들이 스스로 행복하다고, 살만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통지표를 들고 성적에 상관없이 환하게 웃으며 방학을 맞이하는 사진 속 바카라 꽁 머니의 표정을 이 시대 청소년들과 청년들의 얼굴에서도 볼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길 기대해 봅니다.
신경훈 디지털자산센터장 khshin@hankyung.com
ⓒ 바카라 꽁 머니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