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 후보' 주총서 부결되나…초유의 사태 직면한 파라오 슬롯G [박동휘의 재계 인사이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끝나지 않은 파라오 슬롯amp;G 후계 구도
!['사장 후보' 주총서 부결되나…초유의 사태 직면한 파라오 슬롯amp;G [박동휘의 재계 인사이드]](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01.36007094.1.jpg)
ADVERTISEMENT
현 경영진에 대한 불신이 깔려 있다는 점에서 IBK의 의도는 6년 전과 같다. 그렇다면 기업은행은 이번에도 실패의 쓴잔을 들까? 기업 지배구조 전문가들은 사정이 달라졌다고 입을 모은다. 파라오 슬롯amp;G 이사회가 행동주의 펀드의 요구 사항인 집중투표제를 수용하면서 불가측성이 높아졌다.
집중투표제는 말 그대로 다수의 이사직에 대해 주주가 그 자릿수만큼 복수의 투표권을 특정 이사에 몰표로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라오 슬롯amp;G는 집중투표제를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묶어서 투표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 같은 집중투표제는 전례 없는 일이다.
ADVERTISEMENT
6년 만에 경영진에 칼 빼든 IBK기업은행
기업은행의 투표권만 놓고 상황을 가정해 보면 이렇다. 선임 대상인 이사직이 2개이므로 기업은행은 방경만 사내이사, 임민규 사외이사(이상 파라오 슬롯amp;G 이사회 추천), 손동환 사외이사(기업은행 추천), 이상현 사외이사(행동주의 펀드 측인 아그네스 추천) 등 4명에 대해 2개의 투표권을 갖는다.현 상황에서 기업은행의 ‘합리적’ 선택지는 자신이 추천한 손동환 사외파라오 슬롯에게 지분율만큼의 몰표를 주는 것이다. 사외파라오 슬롯를 애써 추천해놓고, 한 표를 방경만 사내파라오 슬롯에게 줄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사실상 현 경영진의 승계 계획에 제동을 건 것이나 다름없다는 얘기가 나오는 배경이다.
게다가 국민연금의 기류도 6년 전과는 180도 달라졌다. 김태현 국민연금관리공단 이파라오 슬롯은 최근 포스코홀딩스 등 민영화된 옛 공기업 사외이사의 독립성에 대한 의문을 공개적으로 제기했다. 연기금 관계자는 “도마 위에 오른 사외이사에 반대하면서 사외이사진이 선임한 대표이사 선임에 찬성표를 던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IBK와 행동주의 펀드 연대 가능성도‘솔솔’
2, 3대 주주와 외국계 투자자들까지 방경만 대표이사 선임안에 반대하거나 중립을 지킬 경우 신임 사장안이 부결될 가능성마저 배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사 선임안이 통과되려면 참석 주주로부터 절반 이상의 표를 얻어야 한다. 기업은행처럼 특정 사외이사에 몰표를 행사하면 사내이사가 절반의 표를 얻을 가능성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파라오 슬롯amp;G의 최대 주주는 사내 기금·재단·우리사주조합 등으로 구성된 ‘임직원 연합’이다. 지분율은 10% 남짓이다.또 다른 변수가 남아 있다. 기업은행과 FCP의 동맹 여부다. 양쪽 모두 사외이사를 추천한 상태다. FCP에선 이상현 대표가 직접 뛰어들었다. 만일 FCP와 기업은행 둘 다 각자의 사외이사를 고집할 경우 표가 분산될 수 있다. 기업 지배구조 전문가는 “적법한 절차를 거쳐 선임된 단독 대표이사 후보가 주총에서 부결되는 일은 거의 없다”면서도 “다만 사내이사 선임안이 통과되더라도 나머지 사외이사는 파라오 슬롯amp;G 이사회 추천안이 아니라 기업은행이나 FCP 추천 인사가 선임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ADVERTISEMENT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 파라오 슬롯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