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읽을만한’ 슬롯 머신 일러스트 나왔다…이종일 전 교수 “번역에 20년 걸렸네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슬롯 머신 일러스트 번역한 이종일 전 세종대 교수
원작 문체 살리면서도 자연스러운 우리말 살려
“슬롯 머신 일러스트, 어렵지만 코믹하고 재미있는 책”
원작 문체 살리면서도 자연스러운 우리말 살려
“슬롯 머신 일러스트, 어렵지만 코믹하고 재미있는 책”

최근 문학동네에서 출간한 제임스 조이스의 고전소설 <슬롯 머신 일러스트에 대한 독자들의 평가다. 한쪽 읽는 데도 한참 시간이 걸리는, 어렵기로 유명한 책이기에 “읽을만하다”는 말은 극찬에 가깝다. 책 좀 읽는다는 사람들 사이에선 벌써 입소문이 나며 초판으로 찍은 1·2권 2000질 가운데 약 1000질이 출간 한 달 만에 팔렸다.
책을 슬롯 머신 일러스트한 이는 이종일 전 세종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서울대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영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한국제임스조이스학회장을 지낸 조이스 전문가다. 서울의 한 카페에서 만난 그는 “영국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1998년 가을부터 조금씩 슬롯 머신 일러스트을 시작한 작품”이라며 “그 후 5년 안에 책을 내기로 문학동네와 출판 계약을 맺고도 계속 늦어져 결국 출간에 12년이 걸렸다”고 말했다.
조이스가 1922년 처음 출간한 <슬롯 머신 일러스트는 아일랜드 더블린을 배경으로 1904년 6월 16일 하루 동안의 일을 그렸다. 특별한 사건은 없다. 아침에 아내의 외도를 알게 된 38세 남성 레오폴드 블룸의 하루를 쫓을 뿐이다. 착잡한 마음으로 집을 나선 그는 여러 사람을 만난 뒤 밤늦게 집에 돌아온다. 이 단순한 여정을 특별하게 만드는 건 ‘의식의 흐름’이다. 독자는 블룸이란 사람의 머리에 들어가 하루를 보내는 진기한 체험을 하게 된다.
그동안 <율리시스는 고(故) 김종건 고려대 명예교수의 번역본이 가장 유명했다. 하지만 문장이 딱딱하고 난해했다. 페이지마다 가득한 각주도 일반 독자의 접근을 어렵게 했다. 김성숙 씨가 번역한 동서문화사판 <슬롯 머신 일러스트 그나마 가독성이 높았다. 다만 의역이 많았다. 작가의 의도를 무시하고 긴 문장을 짧게 나누기도 했다.
문학동네판 <슬롯 머신 일러스트는 각주가 거의 없다. 한자도 찾아보기 힘들다. 번역 투가 아닌, 한국 사람이 쓴 한국 소설처럼 유려하고 자연스러운 문장을 자랑한다. 이 전 교수는 “번역은 원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게 가장 중요하지만, 단어 대 단어(word to word)로 하나하나 직역하면 어색한 문장이 되기 쉽다”면서 “어떻게 하면 우리말로 자연스럽게, 이해하기 쉽게 옮길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했다”고 설명했다.


이 전 교수는 “문학 작품은 세탁기 사용설명서와는 다르다”고 했다. “세탁기 사용설명서를 슬롯 머신 일러스트하는 건 간단해요. 뜻만 통하면 문체가 어떻든 상관없죠. 문학 작품은 다릅니다. 작가가 어떤 생소한 단어를 썼을 때, 어떤 문체를 골라 글을 썼을 때 그 의도를 최대한 살려서 슬롯 머신 일러스트해야만 합니다.”
이 전 교수가 <슬롯 머신 일러스트를 제대로 읽은 건 영국 유학하러 가서였다. 처음에는 그도 읽다가 포기했다. 재도전하면서 어려운 단계를 극복하자 점점 재미가 붙었다. 결국 박사 학위 논문 주제로 삼을 정도로 가장 좋아하는 문학 작품이 됐다.
그는 이 소설이 “코믹하다”고 말한다. “주인공의 우울한 하루를 그린 작품인데, 작가가 그런 감정에 빠져들지 않고 거리를 둡니다. 말장난도 하면서 코믹하게, 희극적으로 풀어내죠.”

쉽게 번역했어도 <슬롯 머신 일러스트 쉬운 책은 아니다. 영어권 독자에게도 어려운 책이란다. 그는 “영미권에서 소위 문학을 전공한 사람들조차 이 소설을 완독한 사람은 드물다”며 “우리가 영어권 독자가 아니라서 어려운 것은 아니다”고 했다.
조이스는 생전에 “내가 불가해한 것과 수수께끼를 워낙 많이 심어놓았기 때문에 장차 수백 년 동안 슬롯 머신 일러스트들이 내가 뭘 의미하는지를 두고 갑론을박할 텐데, 이야말로 자신의 불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농담조로 말한 적이 있다.
이 전 슬롯 머신 일러스트는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문학적 소양이 부족하다’고 좌절하거나 실망하지 말고 원래 어려운 작품이라고 편하게 받아들이면 좋겠다”고 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슬롯 머신 일러스트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