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동의 대동 서울사무소 바카라 꽁 머니 직원들이 수직형 식물재배기의 작물 생육 상태를 관찰하고 있다.  임대철 기자
서울 서초동의 대동 서울사무소 바카라 꽁 머니 직원들이 수직형 식물재배기의 작물 생육 상태를 관찰하고 있다. 임대철 기자
16일 찾은 서울 서초동의 대동 서울사무소 5층 바카라 꽁 머니. 약 10m 높이의 수직 회전형 바카라 꽁 머니이 독특한 외관으로 시선을 사로잡았다. 상추, 근대 등 엽채류 식물이 심어진 12단의 재배 판은 태양광을 흡수하기 위해 위아래로 서서히 움직였다. 재배기 하단에선 팔 끝에 카메라를 장착한 생육 촬영 로봇이 엽채류의 생육 상태를 이미지로 기록했다. 온도, 습도, 액상 비료량 등 식물 생육에 필요한 모든 인자는 자동화 설비를 통해 실시간 관리됐다. 이곳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은 디지털 데이터로 기록된 후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됐다.

바카라 꽁 머니 로봇까지…농업 판 뒤집는 '農슬라' 대동
‘국산 1호 경운기’를 시작으로 국내 1위 농기계 회사로 성장한 대동이 농업 디지털 대전환(DX) 선봉에 섰다. 개인 맞춤형 식물 생산이 가능한 바카라 꽁 머니 농업 플랫폼 서비스를 2025년께 선보이겠다는 포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환경에서 품종별 생장 과정을 기록한 식물 생육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1월 준공한 서초동 바카라 꽁 머니은 스마트 농업에 대한 대동의 집념을 대표하는 공간이다. 서울사무소 옥상을 개조한 이곳은 면적 대비 생산량이 많은 12단과 5단의 수직형 바카라 꽁 머니 2동과 스마트 온실 1동으로 구성됐다. 발광다이오드(LED) 광원 분배 및 냉난방, 비료 급·배액, 미스트 분사 등 식물 생장 설비를 모두 자동화해 24시간 가동이 가능하다. 이곳에서 수확한 작물은 같은 층에 마련된 사내 식당에 식자재로 활용되고 있다. 현장 관계자는 “국내에서 보기 드물게 건물 옥상에 자연광과 인공광을 둘 다 활용할 수 있는 복합 광원형 바카라 꽁 머니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서초동 스마트팜의 주된 임무는 식물 생육 데이터 수집이다. 이곳은 식물 생장의 최적 조건을 조성한 덕분에 엽채류의 경우 노지 재배보다 최대 네 배 정도 생산성이 높다. 그만큼 데이터를 모으는 속도도 빠르다. 대동은 육종, 파종, 생육, 수확까지의 재배 전 과정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해 관계사인 대동애그테크와 협업해 ‘생육 레시피’를 개발하고 있다. 대동애그테크는 대동이 지난해 현대오토에버와 설립한 합작회사로 바카라 꽁 머니 자율주행 농기계, 농작업 로봇 등 농업 DX 관련 사업을 추진한다.

대동은 생육 레시피를 활용한 초(超) 개인형 건강 솔루션 사업이 미래 농산업의 블루칩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전자 정보 또는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 건강에 최적화된 식단 및 식품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대동은 건강에 도움이 되는 특수·일반 영양소를 대량 함유한 고기능성 작물의 생육 레시피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 서울대와 업무 협약을 맺고 서초동 바카라 꽁 머니에서 12개의 작물을 선정했다. 생육 데이터를 활용해 해당 작물의 기능성 성분을 극대화하기 위한 재배법과 품종 개량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KT의 ‘KT 기가 바카라 꽁 머니 사업’을 인수한 것도 플랫폼 기반의 농업 DX 속도를 높이기 위한 투자다. KT 기가 바카라 꽁 머니은 스마트 온실 설계 컨설팅 및 시공, 실시간 생육 환경 관제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2016년 도입 이후 온실 및 노지 등에서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는 국내 370여 개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만큼 실제 농가의 데이터를 활용해 대동이 구축하는 생육 데이터베이스의 대표성 및 다양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대동은 신·구 사업을 가리지 않고 DX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자회사인 대동모빌리티는 작년 11월 대구에서 전기 트럭 등 연간 최대 14만5000대의 바카라 꽁 머니 모빌리티를 생산할 수 있는 바카라 꽁 머니팩토리를 준공했다. 농기계가 주력인 대동은 올해 자율주행 3단계 트랙터 및 콤바인을 내놓을 계획이다.

바카라 꽁 머니은 2021년 연결기준 매출 1조1792억원으로 사상 처음 매출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최대 실적을 올렸을 것으로 증권가는 보고 있다. 주가는 최근 3개월간 15%가량 상승했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