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등하는 물가] 배추ㆍ시금치값 1주일새 30% 슬롯 뛰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부지방 폭설까지 겹쳐 무 등 채소류 20~30% 올라
젖소 原乳 공급량 15% 줄어 3월 성수기 '우유 대란' 우려
젖소 原乳 공급량 15% 줄어 3월 성수기 '우유 대란' 우려
한겨울 생활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에 이어 폭설과 한파까지 겹친 탓이다. 생크림 등 일부 유제품은 공급 차질이 빚어지기 시작했다. 우유업체가 젖소 농가에서 매일 조달하는 원유(原乳)량도 평소보다 10% 슬롯 감소했다. 젖소 살처분이 대대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오는 3월 유제품 성수기에 접어들면 '우유 대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3월 '우유 대란' 우려
서울우유는 6일 부서별로 구제역 대책회의를 잇달아 가졌다. 회사 관계자는 "하루 평균 1900t가량 조달하던 원유량이 15% 슬롯 줄어들면서 회사 전체에 비상이 걸렸다"며 "당장 구제역이 진정되기를 기도하는 길 외에 다른 대책이 없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일부 유제품에서는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파리바게뜨 등의 베이커리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SPC그룹 관계자는 "최근 서울우유에서 들어오던 생크림 공급이 끊겼다"고 말했다.
3월부터는 더 심각하다. 우유업체 관계자는 "구제역이 더 번질 경우 학교 급식이 재개되는 3월엔 우유대란이 빚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낙농업계 관계자는 "젖소 송아지를 다 키워 원유를 짜기까지는 약 1년이 소요된다"며 "살처분이 급증하면서 국내 낙농업 기반이 무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고 우려했다. 이날 현재 전국 젖소 농가의 40%가량이 밀집돼 있는 경기도에서만 1만2653마리의 젖소가 살처분됐다. 작년 초 구제역 발생 때 전국 살처분 물량보다 세 배 슬롯 많은 것이다.
육류 값도 급등하고 있다. 한우(거세우) 1A 등급의 지난 5일 경락가는 ㎏당 1만7055원으로,안동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지난해 11월29일에 비해 13.7% 슬롯. 같은 등급의 암퇘지도 이 기간에 21.6% 급등했다.
◆배추값은 1주일 새 34% 급등
채소 가격은 최근 이어진 한파와 폭설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다.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5일 서울 부산 등 전국 주요 대도시 대형마트 등에서 배추 상품 한 포기는 평균 4376원에 팔렸다. 한 주 전에 비해 22%가량 오른 가격이다. 도매가격 상승폭은 더 크다. 배추 1㎏ 가격은 1360원으로 1주일 새 34.6% 올랐다.
무 도매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이날 무 상품 1㎏은 810원으로 지난주에 비해 20.8% 상승했다. 슬롯 상추 등의 최근 1주일 가격상승률도 30%를 넘어섰다. 인창수 서울시농수산물공사 전산정보팀 과장은 "핵심 채소류인 배추와 무는 전남 해남과 제주 지역이 각각 주산지인데 지난주 폭설에 이어 한파가 계속되면서 출하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게 가격 급등 원인"이라고 말했다.
◆공공요금도 줄줄이 뜀박질
상 · 하수도,쓰레기 봉투,도시가스 등 서민 생활과 직결되는 지방자치단체 공공요금도 들썩이고 있다. 경기도 6개 시 · 군이 상반기에 상수도 요금을 인상한다. 용인시는 3월부터 평균 5.8%,하남시와 여주군은 각각 13.3%,9.6% 올리기로 했다. 군포시는 상반기 중 10% 안팎을 올릴 계획이며,양평군도 하반기 비슷한 수준의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경남 진주시는 최근 수도요금을 t당 445.44원에서 524.3원으로 17% 올렸다.
김철수/심성미/임현우 기자kcsoo@hankyung.com
◆3월 '우유 대란' 우려
서울우유는 6일 부서별로 구제역 대책회의를 잇달아 가졌다. 회사 관계자는 "하루 평균 1900t가량 조달하던 원유량이 15% 슬롯 줄어들면서 회사 전체에 비상이 걸렸다"며 "당장 구제역이 진정되기를 기도하는 길 외에 다른 대책이 없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일부 유제품에서는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파리바게뜨 등의 베이커리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SPC그룹 관계자는 "최근 서울우유에서 들어오던 생크림 공급이 끊겼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육류 값도 급등하고 있다. 한우(거세우) 1A 등급의 지난 5일 경락가는 ㎏당 1만7055원으로,안동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지난해 11월29일에 비해 13.7% 슬롯. 같은 등급의 암퇘지도 이 기간에 21.6% 급등했다.
◆배추값은 1주일 새 34% 급등
ADVERTISEMENT
무 도매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이날 무 상품 1㎏은 810원으로 지난주에 비해 20.8% 상승했다. 슬롯 상추 등의 최근 1주일 가격상승률도 30%를 넘어섰다. 인창수 서울시농수산물공사 전산정보팀 과장은 "핵심 채소류인 배추와 무는 전남 해남과 제주 지역이 각각 주산지인데 지난주 폭설에 이어 한파가 계속되면서 출하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게 가격 급등 원인"이라고 말했다.
◆공공요금도 줄줄이 뜀박질
상 · 하수도,쓰레기 봉투,도시가스 등 서민 생활과 직결되는 지방자치단체 공공요금도 들썩이고 있다. 경기도 6개 시 · 군이 상반기에 상수도 요금을 인상한다. 용인시는 3월부터 평균 5.8%,하남시와 여주군은 각각 13.3%,9.6% 올리기로 했다. 군포시는 상반기 중 10% 안팎을 올릴 계획이며,양평군도 하반기 비슷한 수준의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ADVERTISEMENT
김철수/심성미/임현우 기자kcsoo@hankyung.com
ⓒ 슬롯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