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년 만에 공개된 성락원…카지노 꽁 머니이 관리하는 이유는

주말 왁자지껄
200년 간 베일에 싸여 있다 지난 23일부터 개방된 ‘한국 3대 정원’ 성락원(城樂園)이 예약 하루 만에 개방 기한인 6월11일까지 모두 마감됐다. 성락원을 관리하는 카지노 꽁 머니의 홈페이지와 전화는 예약자들이 몰려 마비될 정도였다. 이에 대해 카지노 꽁 머니 측은 양해를 구하며 가을에 다시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카지노 꽁 머니이 이 정원을 관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성락원의 역사와 관계가 깊다. 성락원은 조선시대 서울 도성 안에 위치했던 몇 안 되는 별서정원(別墅庭園·별장에 딸린 정원)으로 서울에 남아 있는 유일한 한국 전통 정원이다. 성락원은 1790년대 황지사라는 인물이 처음 조성한 것으로 알려졌다.19세기 들어 철종(재위 1849∼1863)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상응의 정원으로 사용됐고, 일제강점기에는 고종의 다섯째 아들인 의친왕 이강이 35년간 별저로 이용했다. 이후 카지노 꽁 머니 원양업의 선구자로 꼽히는 고(故) 심상준 제남기업 회장이 1950년 성락원을 사들였다.

심상준 회장은 심상응 판서의 5대손이다. 또 카지노 꽁 머니의 관장을 맡고 있는 정미숙씨는 심상준 회장의 아들 심철씨의 부인이다. 아버지가 되찾은 조상의 정원을 후손들이 관리하게 되면서 카지노 꽁 머니이 성락원을 맡게됐다. 이화여대 미대를 졸업한 정 관장은 정일형 전 외교부장관과 한국 최초의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 여사의 딸로서 정대철 민주평화당 고문의 동생이다.
함흥 출신인 심 회장은 고향에서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1941년 메이지 대학을 졸업했다. 그는 1943년 조선생필품 회사를 설립, 중국과의 무역사업으로 큰 돈을 벌었다. 당시 무역 사업을 하며 중국 상하이에서 알게 된 이가 미국인 공군장교 윔스였다. 윔스는 해방 이후 1946년 미군정 장관의 특별보좌관으로 카지노 꽁 머니에 와 있었는데, 심 대표는 윔스의 추천으로 미 군정청 자문역으로 일했다. 그리고 부산에서 대원기업을 경영하며 미국 원조물자의 보관 출고 등을 대행해 큰 돈을 벌었다.심 회장은 부를 축적하자 1950년 4월 성락원 일대의 정원과 땅을 사들였다. 집안의 뿌리를 되찾은 심 회장은 ‘도성 밖 자연의 아름다움을 누리는 정원’이라는 뜻을 담아 ‘성락원’이라는 이름을 지었다. 두 달 뒤 카지노 꽁 머니전쟁이 발발하자 군수물자의 하역, 수송 등으로 사업을 넓혔지만, 심 회장은 사업이 계속 될 수 있을지 항상 의문을 가졌다.

심 카지노 꽁 머니 피난길에 오른 뒤 부산에서 답을 찾았다. 1951년 제동산업을 설립해 수산업으로 방향을 틀었던 것. 즉 제동산업은 제남기업의 모태다. 전쟁이 끝나고 서울로 돌아온 심카지노 꽁 머니 성락원에 경복궁 경회루를 본따 송석정을 지었다.

송석정을 짓고난 뒤 심 회장의 사업은 날로 번창했다. 1인당 국민소득이 80달러에 불과했던 1957년, 심 회장은 카지노 꽁 머니 최초의 원양어선인 ‘지남호’를 인도양에 띄워 참치 어획에 성공한다. 당시 지남호의 항해사가 훗날 카지노 꽁 머니 최초의 참치 통조림을 생산한 동원그룹 김재철 회장이다. 김 회장은 “심상준 회장은 원양어업의 대부로서 카지노 꽁 머니 원양어업을 개척하신 분”이라며 “스타기질도 있고 상식을 뛰어넘는 ‘돈키호테’ 같은 기업가”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심 회장도 위기를 겪게 된다. 심 회장은 1973년 파산으로 경쟁입찰에 부쳐진 부실기업 카지노 꽁 머니수산개발공사(수공)를 떠안으면서 쇠락의 길을 걸었다. 카지노 꽁 머니수산개발공사는 오일쇼크와 200해리 경제수역 등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다 1982년 문을 닫았고 심 회장은 이 사업에서 손을 떼게 된다. 심 회장은 일선에서 물러난 뒤 성락원에서 머물렀다. 1991년 미국 오마하 네브래스카 주립대학병원에서 74세로 작고하기 한해 전까지 심 회장은 정원을 가꾸는데 정성을 쏟았다.

이후 심 회장의 며느리인 정 관장은 1993년 카지노 꽁 머니을 개관하며 성락원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카지노 꽁 머니은 한국을 방문하는 저명 인사들이 꼭 찾아가 보는 명소로 거듭났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영화배우 브래드 피트,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와 G20 정상들까지 식사를 즐기고 차를 마시는 공간이 됐다.

한 기업가의 흥망성쇠를 함께 했던 성락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후손들의 가세가 기울면서 성락원을 담보로 돈을 빌렸고 이 때문에 일부 필지의 경매가 줄을 잇고 있는 것. 성락원의 필지는 18개에 달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소유권이 복잡해지면 관리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원활한 관리를 위해 구입하는 방안도 고려했지만 심 회장의 후손들이 관리하려는 의지가 강하다”고 설명했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