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온라인 슬롯 내달 줄줄이 오른다
입력
수정
지면A1
16일부터…평균 2.7~3.4% 인상내년 1월16일부터 자동차온라인 슬롯가 줄줄이 오른다. 새해 물가 인상과 함께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삼성화재, 개인용 3% 인상 '최저'…공격영업 예고에 업계 긴장
메리츠, 업계 최저 손해율에도 개인용 온라인 슬롯 인상은 '최고'
3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업계 2·3·6위인 현대해상과 DB손해보험, 메리츠화재를 시작으로 7개 손보사가 자동차온라인 슬롯 인상에 들어간다. 2016년 상반기 이후 약 3년 만의 인상이다.현대해상과 DB손해보험은 다음달 16일 자동차온라인 슬롯를 평균 3.4% 올린다. 이는 개인용과 업무용, 영업용을 합산한 전체 자동차온라인 슬롯 인상률이다. 메리츠화재는 평균 3.2% 인상하기로 했다. 개인용은 4% 이상 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달 19일에는 업계 4위인 KB손보가 평균 3.4% 올리고, 21일에는 업계 5위 한화손보가 평균 3.2% 인상한다. 24일엔 국내 최초의 자동차온라인 슬롯 전문 온라인 슬롯사인 AXA손해온라인 슬롯이 비교적 낮은 편인 평균 3% 올린다.
업계 1위인 삼성화재는 지난 20일 상품위원회를 열어 다음달 31일부터 평균 2.7% 인상하기로 했다. 대형 손보사 관계자는 “올해 자동차 손해율(온라인 슬롯 대비 발생 손해액)이 큰 폭으로 뛴 데다 정비수가도 올라 온라인 슬롯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손보사들 "손해율 급등에 정비요금까지 올라…車온라인 슬롯 인상 불가피"
손해보험업계 상위 6개사와 AXA손보가 일제히 자동차온라인 슬롯 인상 계획을 밝힌 데 이어 롯데손보, 흥국화재, MG손보, 더케이손보 등도 인상 시기와 인상폭을 저울질하고 있다. 손보사들은 인상 예정일로부터 5영업일 전까지 손보협회 및 각사 홈페이지에 정확한 인상폭을 공지해야 한다.손보사들이 자동차온라인 슬롯를 일제히 올리는 건 올 들어 손해율(온라인 슬롯 대비 발생 손해액)이 급등한 데다 정비요금도 올랐기 때문이다. 올여름 폭염에 따른 사고 증가로 3분기 누적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3.7%로 전년 동기(78.9%) 대비 5%포인트 가까이 높아졌다. 이미 자동차보험의 적정 손해율인 78~80%를 넘었다.
자동차 정비 요금도 올랐다. 지난 6월 국토교통부는 시간당 적정 정비요금을 평균 2.9% 인상했다. 이런 탓에 11개 손보사의 3분기 누적 자동차부문 영업손익은 지난해 2437억원 흑자에서 올해 2104억원 적자로 전환됐다. 본업인 자동차온라인 슬롯에서는 손해를 보면서 채권 이자수익 등 자산운용수익으로 이익을 내고 있는 현실이다.
업무·영업용을 포함한 전체 자동차온라인 슬롯 인상률은 2.7~3.4%지만 일반 자가용 운전자에게 적용되는 개인용 자동차온라인 슬롯 인상폭은 최고 4%에 달한다. 업계는 메리츠화재 개인용 자동차온라인 슬롯 인상률이 4%를 웃도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메리츠화재는 현재 자동차온라인 슬롯 평균 인상률(3.3%)만 공개하고 개인용 인상률은 밝히지 않고 있다. 메리츠화재가 유일한 70%대 손해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업계 온라인 슬롯 인상 흐름에 편승해 온라인 슬롯를 과도하게 올리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메리츠화재의 3분기 누적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79.7%로 업계 최저를 기록했다.개인용 자동차온라인 슬롯 인상률은 현대해상(3.9%) 한화손보(3.8%) DB손보·KB손보(3.5%) AXA손보(3.2%) 순으로 높다. 업계 1위인 삼성화재의 개인용 자동차보험 인상률이 3%로 가장 낮다.
업계는 삼성화재가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공격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서는 건 아닌지 잔뜩 긴장하고 있다. 삼성화재의 3분기 누적 손해율(83.0%)이 대형 5개사 가운데 낮은 편이긴 하지만 현대해상(82.2%)보다 높고 적정 손해율을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9일 삼성화재는 2009년 10월1일 이후 판매한 표준화 실손보험의 온라인 슬롯도 내년 초 평균 1.6% 내리기로 했다.
업계에서는 자동차온라인 슬롯가 내년 추가로 소폭 인상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형 손보사 관계자는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인해 자동차 부품값도 큰 폭으로 오르고 있어 손해율이 적정 수준으로 내려오지 않으면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